본문 바로가기
생 활 의 지 혜

★내일이 정월 대보름 입니다★(2012.2.6.월)

by 탱고여인 2012. 2. 6.

★내일이 정월 대보름 입니다★(2012.2.6.월)

우리 사랑하는 님들 안녕하세요.
내일이 정월 대보름 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에서 옛부터 전해오는 
특별한 명절인데 오늘은 이 정월대보름에 대한  
풍습이야기나 해 볼가합니다.  
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과 당일에는 각지에서 새해의 운수와  
관련된 여러 가지 풍습들이 행하여집니다.  
정월은 한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는 달입니다.  
정월 15일인 대보름날에는 주로 점을 많이 칩니다.  
대보름날의 풍습은 각 지방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많이 행해지는 행사를 보면  
보름새기 -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였는데,  
가족 중에 누군가 잠이 들면 장난삼아 밀가루 등으로 눈썹을  
하얗게 칠해놓기도 합니다.  
더위팔기 - 보름날 해뜨기 전에는 다른 사람에게 한해 더위를 팝니다.  
달맞이 - 초저녁에 높은 곳에 올라 달을 맞으면서 새해의 풍년을  
점치고 행운을 빕니다.  
달집태우기 -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 때에 태우면서 풍년을 빕니다.  
다리밟기 - 땅에 놓여진 '다리'를 밟으면 밟는 사람의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기대하며 다리를 밟는 풍습입니다.  
지신밟기 - 영남지방에서 행하여지며, 농민들이 행렬을 이루어  
집을 차례로 찾아가는 풍습입니다.  
액막이 연 - 그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음력  
정월 열나흗 날에 띄워 보내는 연.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귀를 씁니다.  
음식을 살펴보면  
부럼 - 정월 보름날 새벽에는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의미에서  
밤,잣,호두 등 단단한 견과류의 부럼을 먹습니다.  
이때 부럼(주로 밤)의 껍질을 직접 깨물어 먹습니다.  
오곡밥 - 쌀, 보리, 조, 수수, 팥 등의 다섯 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어 지은 오곡밥을 먹습니다.  
진채식 - 무우, 오이, 호박, 박, 가지, 버섯, 고사리 등을  
말려둔 것을 먹습니다.  
여러 집에서 아홉 가지 나물을 아홉 번, 또는 열 가지 나물을 먹기도 합니다.  
약밥 - 대추, 밤, 감, 팥 등으로 약밥을 만들어 먹습니다.  
귀밝이술 - 보름날 새벽에 찬술을 남녀구별 없이 조금씩 마십니다.  
솔떡 - 솔을 깔고 떡을 쪄서 나누어 먹습니다.  
가축에 대해서도 행사가 있는데요  
소밥주기 - 소에게 밥과 나물을 차려 줍니다.  
개보름쇠기 - 보름날에 밥을 주면 개가 마른다고 하여  
달이 뜨는 저녁에 밥을 줍니다.  
까마귀밥 -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 제를 지냅니다.  
또는 약밥이나 나물을 까마귀에 던져 줍니다.  
놀이는  
연날리기 - 대보름 날에는 겨울 내내 띄우던 연을 날려보냅니다.  
대보름 이후로는 연날리기를 하지 않고, 대보름 이후에 연을 날리면  
"고리백정"이라 불렀습니다.  
쥐불놀이 - 대보름 밤에 쥐불을 놓아 벌레를 없엡니다.  
횃불싸움 - 두 마을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횃불을 들고 싸웁니다.  
널뛰기 - 정월대보름 밤에 널뛰기를 하며, 이후로는 하지 않습니다.  
사자희 - 머리에 사자 가면을 쓰고 농악을 울리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춤을추며 놉니다.  
기타 줄다리기, 석전, 고싸움 등의 놀이를 벌이기도 합니다.  
중국의 풍습을 보면  
콩죽을 만들어 문에 제사지내고 대보름을 전후한 밤에  
화려하게 그림이 그려진 등불을 밝힙니다.  
또 아이들은 폭죽을 터뜨리기도 합니다.  
이런 아름다운 미풍양속이 있는 명절이 바로 정월 대보릅입니다.  
사랑하는 님들!!  
내일 대보름을 맞이하여 님들의 가정에도 아름다운 미풍양속으로  
온가정이 화합하시기를 기원 합니다.  
님들과 님들의 가정에 평화와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기원 합니다.  
-모셔온글- 
2012년 2월 5일
 
    

댓글